메모리 가격 하락, 반도체 슈퍼사이클 전망
안녕하세요 오늘은 반도체 공급 전망을 통해 삼성전자 업황과 채용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2개의 포스팅을 통해 역대급 불황과 좋지 않은 수요 시그널을 알게 되었죠.
그렇다면 공급 전망은 어떨까요?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므로, 공급 전망도 알아둔다면 분명 분석에 도움이 됩니다.
1. 메모리 공급 전망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2023년 메모리 수요 증가율은 22년 대비하여 조금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펜데믹 기간동안 메모리 업체(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들은 공격적으로 캐파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한마디로, 공급 과잉인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메모리 제품은 수요를 초과하여 재고가 쌓여있으며, 재고 개선을 위해서는 감산이 불가피합니다.
다행히도, 지난 4월 삼성전자는 감산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로 인해 하반기 이후에는 재고 개선 가능성이 높아져 기대감도 높아지고있습니다.
마이크론과 키옥시아의 감산 수준인 25~30% 정도로 감산을 할 것으로 보이네요.
월 평균 웨이퍼 생산량은 지난 해 대비 18% 감소한 1315K매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현재 현업 엔지니어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제공이 많이 줄어 일이 거의 없다고 하네요 ^^;;
2. NAND 공급 전망
NAND는 D-RAM보다 재고 부담이 더 큽니다.
그 이유는 첫번째로, NAND 플래시의 재고 회전율이 D램보다 낮습니다.
두번째로는, DRAM보다 수요 변동성이 큽니다.
낸드 플래시는 스마트폰, SSD,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IT 기기에 사용되지만
D램은 주로 PC, 서버, 그래픽카드 등 고성능 기기에 사용됩니다.
고성능 기기 시장은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기 때문에, D램 수요는 조금 더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더 큰 고강도의 감산이 필요합니다.
웨이퍼 아웃풋 기준 삼성전자 약 150K (26%), 키옥시아 190K(30%), SK하이닉스 95K (30%), 마이크론55K (26%)
의 감산을 가정했을 때, NAND WAFER 월 평균 생산은 1,452K로 20%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3. 메모리 수급 모델 및 전망
3-1. DRAM 수급 모델
2023년 DRAM 수요는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생산량은 15% 감소가 예상됩니다.
칩 업체들이 언급하는 출하량은 생산량을 조금 넘는 254억 GB 내외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생산 > 출하 의 의미는 하반기 일부 재고가 리스토킹이 진행된다는 기대가 반영된 것입니다.
DRAM 업체들의 칩 재고는 38억 GB에서 하반기에는 24억 GB까지도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가격도 서서히 상승세로 바뀌어 ASP 기준 가격 상승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3-2 NAND 수급 모델 및 전망
NAND도 DRAM과 마찬가지로 하반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점차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산보다 출하가 많아져 칩 업체들의 재고는 줄어들 것이며,
1380억 GB 재고 보유량에서 950억까지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분기 ASP도 하반기부터는 상승할 것으로 보이네요.
정리해보겠습니다.
2023년 메모리 시장은 공급 과잉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24년에는 재고가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며
가격은 상승세로 들어설 예정입니다.
DRAM 시장은 2023년 수요 증가율이 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팬데믹 이후 IT 기기 수요의 둔화,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반면, DRAM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240억GB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메모리 업체들이 팬데믹 이전 수준의 캐파 투자를 진행한 데 따른 것입니다.
NAND 플래시 시장은 2023년 수요 증가율이 1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스마트폰, SSD, NAS 등 NAND 플래시를 사용하는 IT 기기 수요의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NAND 플래시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감소한 6,050억GB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메모리 업체들이 팬데믹 이전 수준의 캐파 투자를 진행한 데 따른 것입니다.
2023년 하반기까지는 먹구름이 껴있지만,
2024년에는 감산 효과가 지속되면서 공급 과잉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DRAM과 NAND 플래시의 ASP가 반등하고, 시장 규모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끝으로 삼성전자 메모리 가격 하락 이유, 반도체 하락 사이클 원인에 대한 포스팅은 마무리하겠습니다.
취준생 여러분들에겐 중요한 정리글이니 꼭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취업 정보,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직자가 알려주는 반도체 공정기술, 공정개발 엔지니어 하는 일 (6) | 2023.08.30 |
---|---|
현직자가 알려주는 반도체 설비 엔지니어 CS 엔지니어 하는일 (1) | 2023.08.27 |
메모리 반도체 하락 사이클, 삼성전자 채용 전망은? #2 (0) | 2023.08.12 |
메모리 반도체 하락 사이클, 삼성전자 채용 전망은? #1 (0) | 2023.08.11 |
못받으면 손해인 정부 청년 지원금, 취업 지원금 받아보자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