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정보, 꿀팁

4학년 여름방학, 반도체 취업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3가지 행동.

Rheesh 2023. 7. 29. 02:49
반응형

안녕하세요 취업 도와주는 형 리시입니다.

 

저는 현재 반도체 공정개발 직무로 3년차 재직중인 엔지니어이며,

 

부업으로 블로그에서 ' 취업 도와주는 공대 형 '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는 2학년까지 학점이 2.8이었으며 졸업 학점도 3점 초중반으로 졸업했습니다.

 

별 볼일 없는 학점으로 졸업했지만 현재는 제가 하고싶었던 일인 공정 엔지니어로 취업을 성공했고,

 

저와 같은 반도체 공정에 열정이 있는 학부생 또는 취업준비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4학년 여름방학, 하반기 반도체 취업을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오늘 주제는 ' 4학년 막학기 무엇을 해야하는가? ' 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미 학점이 결판났지만, 어떻게든 취업 성공 확률을 높이고자 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충분히 역전할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후배 엔지니어를 뽑는다는 생각으로, 마지막 방학에 어떤 것들을 갖추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Internship 인턴십

 

1. 코멘토 - 직무 부트캠프

 

 

아마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공정 실습은 기본이고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스펙을 쌓아가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저는, 공정 실습 전 직무 부트캠프를 통해 직무에 관해 공부하라고 강조드립니다.

 

 

이 문구에 별표를 칠 수 있다면 500개쯤 치고 싶네요.

 

그 정도로 취업 성공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직무 부트캠프를 추천하는 이유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내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가장 빠르게 알 수 있다.
  2. 현업 Issue를 접할 수 있으며, 문제해결력이 학부생에서 현업 수준으로 높아진다.
  3. '현직자 인터뷰' 가 가능하다.

 

직무 부트캠프에서는 여러분이 희망하는 직무의 선배 엔지니어와 함께 과제를 수행합니다.

 

100개의 이론 지식이 있는 것보다, 1개의 실무 능력을 갖추는 것이 훨씬 가치있습니다.

 

직무부트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나라는 사람이 어떤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인지 정확하게 어필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이 직접 Particle issue를 해결한 경험이 생긴다면, 자기소개서 소재가 어떻게 바뀔 것 같으세요?

 

설비 Issue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이미 설비 Cluster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다면?

 

공정 Recipe를 설계하고 내가 원하는 박막을 만들기 위해 조건을 설정해본 경험이 있다면?

 

 

이런 내용들을 대학교 과목에서 배우셨나요?

 

이것을 아는 것 자체만으로도, 학부만 졸업한 경쟁자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가치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먼저 직무에 대해 이해하세요.

 

직무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이해하고, 실제 Issue를 접하세요.

 

공정 실습은 그 다음입니다.

 

 


 

2. 반도체공정실습 ( 명지대 or 서울대 or 렛유인 등등 )

 

 

반도체공정실습

 

 

이제 여러분은 공정 실습을 활용할 수 있는 자격을 갖췄습니다.

 

왜냐하면 이 실습에서 무엇을 해야할 지 알고 있기 때문이죠.

 

직무 부트캠프를 통해 실제 Field issue를 알았다면, 이 공정실습을 이용할 이유가 생긴겁니다.

 

직접 이 문제들을 개선해보면 되는 것이죠.

 

직무에 대한 이해 없이 공정 실습을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저 남들도 다 적는 '이력서 한줄'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닙니다.

 

하지만, 사전에 공부했던 실무 이슈를 가지고 직접 이 실습을 통해 무언가 문제를 해결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 경험은 다른 모든 경쟁자를 제치고 여러분을 반짝이게 하는 귀한 보석이 됩니다.

 

따라서, 이 실습에서 여러분이 해야 할 것은 '무한 재실험' 입니다.

 

저도 실습 해봤습니다. 학교에서도 해봤고 사설 업체에서도 해봤고, 다 해봤습니다.

 

여러분이 적극적으로 실습에 임하지 않으면, 그 누구도 떠먹여주지 않습니다.

 

재실험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시간을 넘기더라도 도전하세요.

 

민폐다 싶을 정도까지 계속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이 공정 실습을 제대로 이용하는 것입니다.

 

만약 어떤 소자를 만드는 실습을 했다면, 계측 후에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특정 공정의 조건을 개선하세요.

 

이렇게도 바꿔보고 저렇게도 바꿔보면서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직접 눈으로 관찰하세요.

 

그리고 실제 문제 사항이 개선되었다면, 그것을 Data화 해서 몇 퍼센트 개선되었는지, 또, 문제원인과 해결 방법을 한 줄로 정리하세요.

 

이것이 여러분 자기소개서 4번 문항의 첫 줄입니다.

 


 

 

3. 독서

독서

 

 

 

책을 읽으세요. 제발.

 

 

좋은 자기소개서는 결국 좋은 글입니다.

 

좋은 글을 쓰려면, 좋은 책을 많이 읽어야 합니다.

 

절대 이 원칙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어떤 책이든 상관없습니다.

 

책을 통해 여러분을 되돌아보고, 과거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겨야합니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 독서의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글과 친해지기, 좋은 Output(글쓰기)를 위한 좋은 Input(독서)

 

2. 나에 대해 알아가기

 

 

특히, 2번 역할이 중요합니다.

 

취업을 처음 준비하는 사람일수록, '나'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합니다.

 

나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어떤 역량을 내세울 수 있을까요?

 

내 경험에 대한 정확한 분석 없이 어떻게 이 경험을 '쓸모'로 만들 수 있을까요?

 

독서는 '나'를 알아가는 것에 도움을 줍니다.

 

종류는 상관없습니다.

 

여름방학 할 거 없잖아요? 다 압니다. 저도 해봤으니까요.

 

하루에 30분, 1시간이라도 책 읽기에 도전하세요.

 

새 학기가 시작될 쯤엔 다른 사람이 되어있을 것입니다.

 

대답의 수준이 달라진 여러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든 대답에 확신과 자신감에 찬 목소리와 눈빛을 갖게될 것입니다.

 

그러니 꼭, 책을 곁에 두시고 본인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갖기 바랍니다.

 


결론

 

1. 직무 부트캠프 꼭 들어봐라.

2.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실습을 해보며 진짜 문제 해결 경험을 쌓아라

3. 책을 많이 읽어서 필력도 갖추고 '나' 박사가 되자

 

 

 

참고로 저는 직무부트캠프에서 PECVD 공정개발 캠프를 진행하고 있으며, 벌써 50명이 넘는 멘티님들과 함께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댓글 통해서 알려주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취업 성공과 인생 성장을 응원합니다!